본문 바로가기
경제

4월 3주차, 주가 관련 일정

by 뿌꾸쒸 2025. 4. 13.
반응형

4월 3주 차 주가 관련 시간표

날짜 외국 증시 한국 증시
25.04.14 (월)   3월 고용동향 발표
25.04.16 (수) 미국 소매판매 지표 발표 한국 은행 기준 금리 결정
25.04.17 (목)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 미국 주택착공 및 건수 발표 예정, 넷플릭스 실적발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25.04.18 (금) 미국 증시 휴장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예정

 

4월 16일 미국 소매판매 지표 발표

 

미국 경제를 나타내는 대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소매업체의 총 판매량과 수익을 조사하여 월 별로 발표합니다. 미국의 전체적인 경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전문가들은 소매판매 지표를 보고 소비자 사이에서 많이 지출하는 내용과 고용 상황, 신용 지표 등을 분석합니다.

 

소매 판매 지표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 가능합니다.

1. 전체 소매판매 (Headline Retail Sales) 

  • 전체 소매업 매출 변화율을 나타냄
  • 휘발유 가격 변동, 자동차 등 큰 품목들이 포함됨

2. 핵심 소매 판매 (Core Retail Sales)

  • 휘발유, 자동차를 제외한 순수한 소비 흐름을 나타냄
  • 미국 연준이 더 주시하는 수치

※ 주가에 미치는 영향  

실제 값이 예상치보다 높으면 소비증가 신호 -> 경기 회복 기대 -> 주식 상승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실제 값이 예상치보다 낮으면 소비 둔화 신호 -> 경기 둔화 우려 ->주식 하락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단, 예상치보다 너무 높으면 "미국 연준이 금리 더 올리는 거 아니야?" 하고 생각되면 반대로 주각가 하락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 월과 비교하면서 보면 더욱 대비하기 쉽겠죠? 전월인 3월 지표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 3월 미국 소매판매 지표

   - 발표일 : 25년 3월 17일

   - 전월대비 증가율 : 0.2% 상승

   - 시장 예상치 : 0.6% 상승 예상

   - 이전 수치 (1월) : 1.2% 하락

 

이는 예상치보다 낮은 수치로, 소비 지출이 예상치보다 못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지표가 발표되자 소매 관련 주식은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두 달 연속 하락을 피한 점에선 시장반응에서 투자심리가 조금 회복되었습니다.

 

 

4월 17일 미국 주택 착공 및 건수발표 예정 (Time - 21:30)

미국에서 주택시장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신규 건축의 변동을 측정하는 경제 지표입니다. 건설 쪽은 경제가 어려울 때 가장 먼저 침체하는 산업 중 하나지만, 경제가 살아날 때, 가장 먼저 회복하는 산업 중 하나입니다. 

 

※ 주가에 미치는 영향  

  • 건설 업체에게 미치는 영향

주택 착공 건수가 증가하면 건설업체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갑니다. 착공이 많아서 일이 많아지고, 일거리가 많이 지니, 건설업체 관련 주가도 상승합니다. (예: 레노바, 하먼 등) 반대로 건수가 예상치보다 낮게 나오면 주가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 금리 정책에 미치는 영향

주택 시장은 금리 시장과도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면 건설 시장에 부담이 될 수 있고, 반대로 금리를 인하하면 건설 시장에도 활기가 뜁니다. 또한 주택시장 활성화는 경제도 활성화하는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예:  s&p 500)

 

  • 주택 관련 파생주, ETF

주택 관련 주가뿐 아니라 파생주와 ETF 주가에도 영향이 가니 투자자들은 발표가 나면 ETF 주식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예:  XHB, ITB)

 

4월 17일 넷플릭스 실적 발표

장 마감 후 넷플릭스 실적 발표가 있을 예정입니다. 25년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으며, 전문가 들은 다양한 전망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영향 포인트 

1. 주로 영화와 드라마 위주의 콘텐츠가 위주인 넷플릭스에서 스포츠 중계도 추가하였습니다. 이는 다양한 소비자층을 늘리는 좋은 전략으로 보입니다.

2. 광고 기반의 요금제가 상승하였습니다. 특히나 4분기 가입자는 전 분기 대비 30%나 증가하였습니다. 

3. 미국 소비자들에게 요금제를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어떤 결과로 나타나는지 한번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4. 이번 분기부터 유료 구독자수를 비공개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실적 발표에도 공개하지 않기로 했으니 유의 바랍니다.

 

위 포인트를 보고 주식 방향성을 잡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