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 18일은 미국증시 휴장일이므로, 사실상 이번 주 미국 증시는 마감되었습니다. 한 주를 돌아보면서 반성과 아쉬운 점,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4월 16일 (수) 주요 이슈와 대처방안
주요 ISSUE :
- 엔비디아 H20 칩 중국으로 수출 규제로 인해 손실 55억 달러 전망 발표 -> 엔비디아 주가 장마감 1시간을 두고 7% 급락
- 기술주 전체적으로 하락 : 테슬라 약 5%, 애플,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도 2-4% 하락
- 파월 의장의 금리 관련 발언으로 주식시장 매도세 강화
- 도널드 트럼프의 "대중국 고율 관세 재도입" 발언으로 무역전쟁 긴장감 가속화
- 3월 소매 판매는 2년 만에 최대 증가를 기록했으나, 파월 의장의 발언 이슈와 반도체 주식 폭락이 시장을 압도
주가하락 악재가 많았던 날, 미리 대처 할 순 없었을까?
- 엔비디아 수출 규제는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된 보고서에서 처음 확인이 되었습니다. SEC 공시자료(10-K or 8-K)로 처음 발표되었고 이후 미디어 CNBC나 Business insider 등에서 보도되었죠. 엔비디아의 이런 소식은 돌발 뉴스는 아니었지만, 전부터 유추가능한 몇 가지 단서가 있긴 했습니다.
단서 | 내용 | 대응 전략 |
미국의 중국에 반도체 수출제한 흐름 | 작년부터 계속 제기되었음 | 엔비디아, AMD, ASML 등 중국 비중이 큰 반도체는 투자를 조심하는 것이 좋았을 것 같다는 의견 |
3월 - 4월 초 News 들 | 트럼프의 고율 관세 부과 예고, 전 대통령 바이든 정부의 AI GPU 규제 강화 시사 | 반도체와 관련된 인버스 ETF 주식으로 단타수익얻기 (예 SQQQ, SOXS) |
기술적 흐름 | 엔비디아가 4월 초 고점 950달러에서 지지선이 붕괴되는 상황 발생 | 지지선 붕괴 시 손절 OR 인버스 ETF로 손실 메꾸기 가능 |
SEC 공시 발표 흐름 | 10-K 등의 내용으로 유추 가능했었음 | 공시 직전 피할 수 있었던 리스크 |
엔비디아 주가에 손실을 입으셨던 분들은 이런 단서를 알고있었다면, 손실을 피할 수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너무 좌절하지 마세요. 이런 일을 몰랐으니 앞으로 알아가면서 대처하면 되는 겁니다. 뉴스에서 나오는 주요 내용을 파악하고 메모해 두며, 전체적인 주가흐름을 분석하고 SEC 공시를 늘 확인하고 주시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은 겁니다. (SEC 공시를 확인하는 방법은 https://www.sec.gov/search-filings 사이트에서 기업이름을 검색해 확인합니다. 주요 공시는 10-K, 10-Q, 8-K, S-1 등이 있습니다. 공시관련해서도 블로그에 글 한번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2. 기술주 전체적 하락도 사실상 관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어느정도 유추 할 수 있었던 하락입니다.
3. 파월 의장은 관세 분쟁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며,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발언하였습니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는 파월 의장의 발언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그를 해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트럼프는 이건 재앙이라며,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지 않아 미국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 하나 실제로 연준 해임은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죠. 단순한 정책방향 차이로 해임시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이런 현상은 연준의 독립성과 시장의 안정성에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정치적 푸시가 통화정책에 까지 영향을 미칠 경우, 투자자들의 신뢰가 흔들릴 수 있으며, 이는 곧 투자심리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습니다.
4. 중국에 고율 관세 부과는 사실 이번 주보다 앞선 저번 주부터 있었던 이슈입니다. 지난 주 9일에 트럼프는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4%나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중국의 보복 관세에 대한 대응입니다. 또한 중국에는 245%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고 다른 국가에 대해서는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90일간 유예하겠다는 트럼프 발언에 주가는 잠깐 올랐지만, 또다시 트럼프의 말이 바뀌어서 주가는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습니다. 90일간 유예 소식은 투자자들에게 좋은 소식이었지만, 기본적인 관세 10% 부과는 이미 깔려있었고, 트럼프의 오락가락하는 발언 때문에 긴장을 늦추지 않는 것이 좋았을 것 같다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5. 이번주 미국의 소매판매 발표가 있었습니다. 소매 판매 지수는 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트럼프의 고율 관세 재도입 발표에 앞서 자동차와 기타 내구재료 구입 증가를 서둘러 구매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 H20칩, 중국 수출 통제.. 언제까지? (0) | 2025.04.18 |
---|---|
월 배당 ETF 추천 (2) | 2025.04.16 |
4월 3주차, 주가 관련 일정 (2) | 2025.04.13 |
프리/애프터 마켓을 이용한 주식 매매 (0) | 2025.04.12 |
4월 둘째 주, 주가 관련 일정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