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테슬라는 다시 일어설 수 있을까? 테슬라 주가 전망

by 뿌꾸쒸 2025. 5. 7.
반응형

테슬라 최근 이슈 

  • 테슬라 백악관 사퇴 (25년 04월 30일)

테슬라는 최근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대표적인 이슈로는 일론 머스크가 백악관을 떠났습니다. 그 이유는 정치적인 능력도 부진했었고, 머스크의 DOGE 활동으로 테슬라 경영에 신경을 못써서 테슬라 실적도 부진해진 이유도 컸습니다. 또한 머스크의 정치적인 색이 유럽시민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불매 운동 등의 이슈도 벌어지곤 했습니다. 결국 머스크는 25년 4월 30일 기점으로 백악관을 사퇴하기로 하고, 이후에는 DOGE 업무는 원격으로 1~2주 정도만 수행하기로 하며, 테슬라 경영 업무에 좀 더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백악관 퇴장으로 주가에 일시적인 긍정적 반등은 있었으나, 여전히 내부적인 문제의 복잡함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가에 크게 영향을 끼치진 않았습니다.)

 

  • 테슬라 판매 부진 (25년 4월 기준)

전기차 전문 매체에 따르면 테슬라의 유럽 내 판매량이 50%이상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스웨덴에서는 81% 이상 감소해 22년 이후 최하위를 기록했고, 네덜란드 스웨덴 등에서도 70% 이상 급감하였습니다. 유럽은 전기차 산업이 성장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테슬라는 올해 1분기 판매량이 45% 감소해 3만 6200만 대에 그쳤습니다. 독일도 마찬가지로 전기차 시장이 활발하지만 4월 판매량은 885대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46%나 급감하였습니다. 

요약하자면 유럽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는 와중에도 테슬라는 유럽과 독일 등의 핵심시장에서 판매량을 40~60%나 급감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판매부진의 이유로는 사실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정치적인 색깔로 인한 반발심으로 유럽시장에서의 점유율 하락과, 중국의 기술적 향상으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현상, 전기차에서 주는 혜택에서 제외되는 몇 가지 불편함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가 있습니다. 

 

 

테슬라 주가 전망

 

※ 긍정적 요인 ※

 

1. 머스크의 테슬라 복귀 :

머스크의 테슬라 경영 복귀로 일시적이지만 주가가 반등하기도 했었고,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테슬라가 일어설거란 기대감이 생겼습니다. 

 

2. 신제품 사이버캡(Cybercab) 출시 예정 :

자율주행 기반 로보택시 Cybercab이 2026년 출시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경쟁상대로는 웨이모(Waymo) 가 있습니다. 두 회사다 장점과 약점이 있는데요, 웨이모는 완전 자율주행중심(4/5 레벨)이며 카메라와 레이다, 레이더 등 다양한 센서를 조합해 시스템을 이루고 있습니다. 구글(알파벳)의 많은 지원도 받고 있습니다. 반면 테슬라는 아직 2/3 레벨에 머물러있으며 다른 경쟁사 (GM의 크루즈, 우버, 중국 바이두)도 많이 있는 상태입니다. 아직은 미래에 어떤 회사가 승리할지는 미지수이나, 전문가 의견으로는 단기적으로는 웨이모가 우세하나 장기적으로는 테슬라가 좀 더 시장에 우세할 거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3. 전기차 수요 장기 성장세 :

미국, 유럽, 독일 등에서는 전기차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 여전히 테슬라의 브랜드 파워와 인프라는 높은 편입니다. 

 

 

※ 부정적 요인 ※

 

1. 판매량 부진 지속 :

머스크의 정치적 활동으로 인한 브랜드 이미지 훼손과 경쟁 심화 등으로 유럽과 독일 등 주요 국가에서 판매량이 급감 (40~60%) 하였으며, 판매량이 계속해서 부진합니다.

 

2. 기술 우위 약화 : 

오토파일럿 등 테슬라의 기술이 예전만큼 못하다는 평이 있으며, 경쟁 업체들의 기술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단기 전망 (25년 상반기)

- 250~280 달러 사이 박스권 등락 가능성 

- 시장은 유럽의 시장 회복 여부와 사이버캡 관련 구체적인 로드맵 발표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 봄

 

♨ 중장기 전망 (25년 하반기~26년)

-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 경영 복귀 효과와 신사업 가시화 여부에 따라 320~400 달러까지 회복 할 가능성이 있다고 봄

- 단, 유럽 및 독일 중국 등의 시장에서의 점유율 회복이 전제 조건

 

 

요약하자면, 테슬라 주가가 회복하려면 머스크의 정치적인 활동이 더이상 있으면 안 되며, 판매 부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입니다. 사이버캡의 출시도 근본적인 해결은 아닙니다. 근본적인 문제는 자동차수출에 대한 관세문제와 판매 부진입니다. 테슬라는 기술적인 향상을 좀 더 키우는 것이 급선무로 보입니다. 사이버캡 외에도 다른 AI 반도체나 로봇, 에너지 등 기술적 모먼트가 있으면 주가는 상승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