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식 호가창 보는 법

by 뿌꾸쒸 2025. 5. 9.
반응형

주식 트레이더도 아닌데 호가창을 굳이 볼 필요가 있을까?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기본이라도 알고 투자하는 것과 아무것도 모르고 투자하는 것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나 중요한 경제지표 발표나 트럼프의 뜬금포 발표 등으로 주가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타이밍이 본장 외에 프리장이나 애프터장일 때가 있을 겁니다. 그럴 때는 호가창도 꼭 확인해서 투자하는 것이 좋은데요.

(더 자세히 이해하고 싶으면 프리장/애프터장 매매 관련 글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호가창 기본 원리

 

다시 본론으로 와서, 호가창 기본요소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단어 설명
매수 호가 투자자들이 어떤 가격에 얼마나 사고 싶어 하는지
매도 호가 투자자들이 어떤 가격에 얼마나 팔고 싶어 하는지
체결량 / 체결 강도 실제 거래가 이뤄진 수량 또는 매수, 매도 중 누가 우세한지
현재가 마지막에 체결된 가격 (보통 가운데에 표시됨)
잔량 각 호가에 대기 중인 주문량 (주문만 있고 체결은 아직 안된 상태)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결정되는 원리는 주가가 결정되는 것은 시장 참여자들의 거래에 의해서 결정이 됩니다. 어떤 기관이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시장의 유동성과 원리가 지배하는 것입니다. 어떤 회사의 현재가는 마지막에 체결된 가격을 의미합니다.

즉, 직전 현재가가 740원이었고, 다시 750원에 매도 주문이 있고, 740원에 매수 주문이 있다면 체결은 이뤄지지 않고 현재가는 740원에 머무르다가 누군가 750원에 매수를 걸어서 750원의 매도 주문과 서로 체결이 된다면 현재가는 750원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런식으로 주가는 체결가에 의해 계속해서 변동이 됩니다. 

 

 

실제 매매에 녹여 투자하는 법

1. 호가 단위와 수량 체크 :

매수와 매도 중 어디에 수량이 몰려있는지 확인한다 (ex. 550원에 3000주 vs 570원에 200주 -> 550원이 심리적 지지선일 가능성이 높다)

 

2. 체결 강도 확인 :

보통 50% 미만이면 매도세가 우위한 것이며, 50% 이상이면 매수세가 우위 한 것이다 (ex. 체결강도가 93%면 매수 쪽이 계속 체결되고 있는 상태)

 

3. 허매수 / 허매도 여부 판단 : 

  • 물량은 많지만 체결이 거의 없다 -> 허수 주문일 가능성이 있다
  • 물량이 계속 갱신되거나 사라진다 -> 고의적으로 시장의 혼란과 교란 가능성이 있다

4. 매수벽 / 매도벽 위치 체크 :

어떤 가격에 비정상적으로 많은 주문이 한 곳에 몰려 있을 때 -> 심리적 지지선(매수벽) 또는 저항선(매도벽) 가능성이 있다

 

5. 체결 위치 분석 :

실제로 거래되는 체결 가격 위치가 어디쯤인지 확인 (ex. 중간 이상에서 계속 체결 -> 매수세가 위쪽으로 따라붙는 중이다)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만약 어떤 기업에 매수세가 강하다면 매도 호가보다 매수 호가에 훨씬 더 물량이 많은 것이며, 체결강도가 90% 이상이며, 현재가 보다 높은 호가로 빠르게 따라붙을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상승 시그널일 수도 있어 긍정적일 수도 있습니다. 

 

 

 

A: 일반적인 원리로는 매수세가 매도세보다 많아야 주가가 오르는 것이 기본원리 입니다. 

1. 매수세가 많을 때는 그 주식을 사려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니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수요 > 공급의 원리이기 때문입니다. "어머, 지금이라도 사야돼!" 하는 사람이 많다는 뜻입니다. 보통 상승장의 신호입니다.

 

2. 매도세가 많을 때는 파려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니 주가 하락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공급>수요면 가격이 떨어지기 십상입니다. "더 떨어질 것 같다.. 빨리 팔자" 라는 사람이 많겠죠. 하락장의 신호입니다.

 

 

A: 조금 더 구체적인 상황의 경우입니다. 속임수를 활용한 것이죠. 세력의 주포 및 주가조작 방식 중 하나입니다. 주식에는 큰손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주식가격을 좌지우지하는 큰 영향력을(돈이 많은) 가진 사람을 의미하는데, 보통은 매도하는 수량이 많이 나와야 그 물량을 다 사면서 주가를 올립니다. 아래 호가 가격에서 사는 사람이 많으면 일부러 물량을 팔아서 주식 가격을 낮춰서 아래에서 매집 후 다시 올리는 방식입니다. 

 

1. 의도적인 허매도(매도벽)가 있을 경우 :

  • 큰 매도 물량을 일부러 걸어놓음 -> 개인투자자들이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매도
  • 하지만 실제로는 이 물량이 체결되지 않음
  • 이후 갑자기 매수세가 급유입 -> 급등함 (페이크를 만든 것)

2. 매도세 많지만 주가가 잘 빠지지 않을 때

  • 시장에 물량을 파는 사람이 많은 데도 주가가 홀딩이거나 오르면 -> 이만큼 팔아도 안 빠진다. 즉 단단하다는 이미지로 오히려 상승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또 호가창에서 숨겨진 매수세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숨은 매수세를 확인하는 법은 매도벽이 두꺼운데도 주가가 상승할 경우, 체결강도와 체결량이 불일치할 경우, 매도호가 수량이 줄어들면서 주가가 상승할 때입니다. 매도 벽이 두꺼운데도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는 매도호가에 수천, 수만 개의 물량이 걸려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계속 상승하는 경우인데, 이는 실제로 매도 물량이 체결되지 않는 경우이며 매수세가 이를 흡수하고 주가가 오르는 현상입니다. 매도벽이 허매도 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매수세가 강하다는 시그널일 수 있습니다. 체결강도와 체결량이 불일치한 경우는 체결량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주가는 상승하는 아이러니한 현상인데, 이는 조용히 강하게 매수세가 붙었음을 의미합니다. 매도호가 수량이 줄어들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현상은 말 그대로 매도 호가에 걸려있던 물량이 줄어들고 주가가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매도세가 약해지고 매수세가 다시 강해지고 있는 시그널입니다. 

 

이러한 패턴을 아는 것은 단타매매나 세력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투자할 때 이런 호가창도 유심히 잘 관찰하면서 이러한 시그널을 한번 익혀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